학교폭력 판단기준(도움이되는 학폭 사례 포함)

2025. 3. 22. 20:06교육톡톡

반응형

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즐겁게 지내는 것은 아주 중요하지만, 때로는 의도치 않게 다른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어요. 어떤 행동이 학교폭력에 해당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오늘은 학교폭력의 판단 기준과 초등학생이 조심해야 할 사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학교폭력이란 무엇일까요?

학교폭력은 친구를 괴롭히거나 힘들게 만드는 모든 행동을 의미해요. 친구를 놀리거나 따돌리는 것부터, 때리거나 위협하는 행동까지 포함되죠.

우리나라의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폭력법") 제2조에서는 **'학교 안팎에서 친구에게 상처를 주는 모든 행동'**을 학교폭력으로 정의하고 있어요. 이는 신체적 폭력뿐만 아니라 언어폭력, 사이버 괴롭힘 등도 포함된답니다.

학교폭력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어떤 행동이 학교폭력인지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생각해 보면 좋아요.

  1. 고의적인 행동인가요? 친구를 일부러 힘들게 하려고 한 행동인지 확인해 보세요.
  2. 자주 반복되나요? 한두 번이 아니라 여러 번 계속되었다면 학교폭력일 가능성이 높아요.
  3. 친구가 많이 힘들어하나요? 친구가 속상해하거나 무서워한다면 가벼운 장난이 아닐 수도 있어요.
  4. 위협적인 느낌이 있나요? 친구가 겁을 먹거나 무서운 상황이라면 더욱 주의해야 되요.
  5. 주변 사람들도 문제라고 생각하나요? 선생님이나 부모님께서 걱정하신다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좋아요.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그 행동이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또한, 학교폭력법 제2조에서는 학교폭력을 "상대방의 신체·정신 또는 재산에 피해를 주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으며, 피해자가 고통을 호소하거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학교폭력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아요.

 

초등학생이 조심해야 할 학교폭력 사례

어린이들은 가끔 장난과 폭력의 차이를 잘 모를 수도 있어요. 하지만 다음과 같은 행동들은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아요.

1. 몸으로 괴롭히는 행동

  • 친구를 일부러 밀거나 때리는 행동
  • 장난이라며 친구의 물건을 빼앗거나 던지는 행동
  • 친구를 넘어뜨리거나 신체적으로 괴롭히는 행동

2. 말로 상처 주는 행동

  • "너랑 안 놀 거야!"라고 하며 친구를 따돌리는 행동
  • 친구에게 나쁜 말을 하거나 놀리는 행동
  • 친구에게 겁을 주거나 위협하는 말 하기

3. 따돌리기

  • 특정 친구를 일부러 모임에서 빼는 행동
  • 친구가 말할 때 무시하거나 대화에서 제외하는 행동
  • "우리끼리만 놀자"라며 친구를 소외시키는 행동

4. 인터넷에서 친구 괴롭히기

  • 단체 채팅방에서 친구를 놀리거나 무시하는 행동
  • 친구의 사진을 허락 없이 인터넷이나 SNS에 올리는 행동
  • 온라인 게임에서 특정 친구를 계속 괴롭히는 행동

5. 물건을 빼앗거나 강요하는 행동

  • 친구의 간식을 마음대로 가져가는 행동
  • 친구에게 싫어하는 물건을 억지로 사용하게 하는 행동

이런 행동들은 친구들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어요. 가벼운 장난처럼 보일 수 있지만, 친구 입장에서는 매우 힘들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방법

  1. 서로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요: 친구의 기분을 생각하며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해요.
  2. 문제가 생기면 어른께 이야기해요: 혼자 고민하지 말고, 선생님이나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하면 좋아요.
  3. 인터넷에서도 예의를 지켜요: 친구를 놀리거나 나쁜 말을 하는 것은 온라인에서도 해서는 안 돼요.
  4.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해요: 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더 좋은 관계를 만들 수 있어요.
 

학교에서 친구들과 즐겁게 지내려면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해요. 혹시라도 친구의 행동이 힘들게 느껴진다면, 꼭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이야기해 주세요.

학교폭력은 혼자 참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해결해야 하는 문제랍니다. 우리 모두가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서로를 존중하며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어 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