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2. 20:06ㆍ교육톡톡
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즐겁게 지내는 것은 아주 중요하지만, 때로는 의도치 않게 다른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어요. 어떤 행동이 학교폭력에 해당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오늘은 학교폭력의 판단 기준과 초등학생이 조심해야 할 사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학교폭력이란 무엇일까요?
학교폭력은 친구를 괴롭히거나 힘들게 만드는 모든 행동을 의미해요. 친구를 놀리거나 따돌리는 것부터, 때리거나 위협하는 행동까지 포함되죠.
우리나라의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폭력법") 제2조에서는 **'학교 안팎에서 친구에게 상처를 주는 모든 행동'**을 학교폭력으로 정의하고 있어요. 이는 신체적 폭력뿐만 아니라 언어폭력, 사이버 괴롭힘 등도 포함된답니다.
학교폭력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어떤 행동이 학교폭력인지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생각해 보면 좋아요.
- 고의적인 행동인가요? 친구를 일부러 힘들게 하려고 한 행동인지 확인해 보세요.
- 자주 반복되나요? 한두 번이 아니라 여러 번 계속되었다면 학교폭력일 가능성이 높아요.
- 친구가 많이 힘들어하나요? 친구가 속상해하거나 무서워한다면 가벼운 장난이 아닐 수도 있어요.
- 위협적인 느낌이 있나요? 친구가 겁을 먹거나 무서운 상황이라면 더욱 주의해야 되요.
- 주변 사람들도 문제라고 생각하나요? 선생님이나 부모님께서 걱정하신다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것이 좋아요.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그 행동이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또한, 학교폭력법 제2조에서는 학교폭력을 "상대방의 신체·정신 또는 재산에 피해를 주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으며, 피해자가 고통을 호소하거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학교폭력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아요.
초등학생이 조심해야 할 학교폭력 사례
어린이들은 가끔 장난과 폭력의 차이를 잘 모를 수도 있어요. 하지만 다음과 같은 행동들은 친구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아요.
1. 몸으로 괴롭히는 행동
- 친구를 일부러 밀거나 때리는 행동
- 장난이라며 친구의 물건을 빼앗거나 던지는 행동
- 친구를 넘어뜨리거나 신체적으로 괴롭히는 행동
2. 말로 상처 주는 행동
- "너랑 안 놀 거야!"라고 하며 친구를 따돌리는 행동
- 친구에게 나쁜 말을 하거나 놀리는 행동
- 친구에게 겁을 주거나 위협하는 말 하기
3. 따돌리기
- 특정 친구를 일부러 모임에서 빼는 행동
- 친구가 말할 때 무시하거나 대화에서 제외하는 행동
- "우리끼리만 놀자"라며 친구를 소외시키는 행동
4. 인터넷에서 친구 괴롭히기
- 단체 채팅방에서 친구를 놀리거나 무시하는 행동
- 친구의 사진을 허락 없이 인터넷이나 SNS에 올리는 행동
- 온라인 게임에서 특정 친구를 계속 괴롭히는 행동
5. 물건을 빼앗거나 강요하는 행동
- 친구의 간식을 마음대로 가져가는 행동
- 친구에게 싫어하는 물건을 억지로 사용하게 하는 행동
이런 행동들은 친구들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어요. 가벼운 장난처럼 보일 수 있지만, 친구 입장에서는 매우 힘들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방법
- 서로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요: 친구의 기분을 생각하며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해요.
- 문제가 생기면 어른께 이야기해요: 혼자 고민하지 말고, 선생님이나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하면 좋아요.
- 인터넷에서도 예의를 지켜요: 친구를 놀리거나 나쁜 말을 하는 것은 온라인에서도 해서는 안 돼요.
-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해요: 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더 좋은 관계를 만들 수 있어요.
학교에서 친구들과 즐겁게 지내려면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해요. 혹시라도 친구의 행동이 힘들게 느껴진다면, 꼭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이야기해 주세요.
학교폭력은 혼자 참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해결해야 하는 문제랍니다. 우리 모두가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서로를 존중하며 배려하는 문화를 만들어 가요!
'교육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교과서(AIDT) 알아보기(학교현장 적용시기 포함) (2) | 2025.03.22 |
---|---|
2025년 교육 이슈 알아보기(늘봄, 유보통합 등) (3) | 2025.03.15 |
2025 개정교육과정 핵심 정리 (0) | 2025.03.14 |
2027년 공무원 시험 개편(핵심정리) (3) | 2025.03.13 |
초등 체험학습 안전하게 다녀오는 법(필수 유의사항 포함) (0) | 2025.03.13 |